경제

기재부 차관 “종부세 과장된 우려…국민 98%는 무관”

마민석 2021-11-19 (금) 12:31 3년전 53  

8272316fc018c8521fdd3e1c5361c8d1_1637292656_0868.jpg
이억원 기획재정부 차관이
19일 서울 광화문 정부청사에서 열린 39차 혁신성장 전략점검회의 겸 코로나 정책점검회의 겸 한국판뉴딜 점검 TF 겸 제33차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


유류세 인하 1주일만에 휘발유 1600원대손실보상 비대상 업종 지원방안 신속 발표

 

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이 내주 종합부동산세 고지를 앞두고 국민 98%는 종합부동산세와 무관하다며 종부세에 대한 일각의 우려가 과장됐다고 지적했다.

이 차관은 19일 주재한 제39차 혁신성장 전략점검회의 겸 정책점검회의 겸 한국판뉴딜 점검회의 겸 제33차 물가관계차관회의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 차관은 다음 주 고지되는 올해 종합부동산세와 관련해 많은 국민들에게 큰 폭의 종부세가 부과된다는 일각의 지적이 있다과장된 우려들이 있지만, 분명한 것은 전체 국민 중 약 98%에는 고지서가 발송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종부세를 내게 되는 일부 고가 1세대 1주택 국민들의 세 부담도 정부의 실수요자 보호 대책에 따라 상당 부분 완화된다“1세대 1주택 고령층은 최대 80%까지 공제율을 높이고 과세 기준 금액도 공시가격 9억원에서 11억원으로 상향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부동산 시장 안정화와 서민의 내 집 마련을 위해 계속해서 총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유류세 인하 추진상황도 점검했다.

이 차관은 시행 일주일이 지난 18일 기준 전국 평균 가격이 휘발유 1699, 경유 1522원으로 11일 대비 휘발유는 111, 경유는 84원 하락해 각각 유류세 인하분의 68%72%가 반영됐다유류세 인하 시행 전 1800원대였던 휘발유 가격이 1013일 이후 한 달 여 만에 처음으로 1600원대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휘발유 기준으로 인하 금액대별로 보면, 유류세 인하액의 164원 이상을 인하한 주유소가 1567개소, 인하액의 90%(148) 이상 인하한 경우는 전체 주유소의 4분의 1가량인 2796개소에 이른다.

지역별로는 서울 평균 가격 인하 폭은 유류세 인하분의 83%를 넘어섰으며 전체 주유소의 80%인 자영주유소 가격 인하 폭도 유류세 인하분의 60%를 넘어서는 등 가격 인하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차관은 국내 휘발유 가격은 2주 전 시점의 국제 휘발유 가격과 유사한 흐름을 보이는데 17일 기준 국제 휘발유 가격은 2주 전에 비해 약 6달러 정도 하락한 점을 감안할 때 국내 휘발유 가격이 보다 안정화될 가능성도 있다정부는 민관합동 시장점검반 가동 등 일일 점검체계를 통해 유류세 인하 반영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담합 등 불공정행위 발생 시 공정위 조사 등을 통해 적극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8272316fc018c8521fdd3e1c5361c8d1_1637292683_1419.jpg
서울시내 주유소의 모습
.

 

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지원 현황도 점검했다.

정부는 지난 71일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지급을 발표하고, 2차 추경으로 마련된 재원을 바탕으로 96일부터 신청 및 지급을 시작했다.

이 차관은 국민지원금 지급대상 4326만명 중 98.7%에 해당하는 4272만명에게 지급이 완료됐다금액 기준으로도 2차 추경에 반영된 예산 11조원 중 98%에 달하는 108000억원이 기지급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급된 국민지원금의 사용액을 분석한 결과, 신용·체크카드로 지급된 충전액 77000억원 중 85.5%에 해당하는 66000억원이 1024일 기준으로 이미 사용된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소상공인 체감경기지수(BSI)는 지원금 지급 개시 직전 달인 834.8에서 지급이 시작된 957.6으로 상승했으며, 전통시장 BSI는 같은 기간 32.6에서 77.4까지 상승해 국민지원금 지급이 체감경기 회복에 일정 부분 기여했음을 알 수 있다고 밝혔다.

집합금지 및 영업시간 제한 조치 이행으로 경영상 손실이 발생한 소기업·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한 손실보상금은 차질 없이 지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날 기준 신속보상 대상 615000개사 중 533000개사(86.7%)가 지급을 신청했고, 이 중 525000개사에 총 15000억원 지급을 완료했다.

이 차관은 손실보상 비대상업종에 대해서도 개별업종의 특성과 수요 등을 감안한 맞춤형 지원방안을 신속히 확정·발표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전날 통계청이 발표한 ‘20213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와 관련해 이 차관은 전체 총소득이 많이 증가한 가운데 대표 분배지표인 5분위 배율 역시 큰 폭으로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양질의 민간 일자리 창출을 통한 시장소득의 견조한 증가, 소상공인 손실보상, 비대상 업종에 대한 지원방안 강구 등 취약계층의 어려움을 경감하는 포용적 회복을 위한 노력을 한층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문의 :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 거시정책과(044-215-2830), 물가정책과(044-215-2770), 한국판뉴딜실무지원단 기획총괄팀(044-960-6160), 디지털뉴딜팀(044-960-6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