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군산 선유도 해역에서 조선 분청사기·곰방대 등 220여 점 발굴

마민석 2024-11-30 (토) 16:00 6개월전 24  

4ae13403862e7641a6b429aff37e429b_1732950011_567.jpg
선유도 수중발굴 해역 항공사진
(사진=국가유산청)

 

4~10월 발굴조사 실시서해 연안항로 기착지로 활발히 활용 입증


군산 선유도 해역에 다양한 유물들이 발굴되면서 조선시대에도 서해 연안항로 중요 거점이었음이 밝혀졌다.

국가유산청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군산 선유도 해역 발굴조사에서 화물로 운반한 것으로 추정되는 조선 분청사기·곰방대 등 유물 220여 점을 발굴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는 올해 4월부터 10월까지 군산 선유도 해역에서 실시한 발굴조사를 통해 드러난 것으로, 선유도 해역이 고대와 중세뿐 아니라 근세에도 서해 연안항로의 기착지로 활발하게 활용되었음을 보여준다

선유도 해역 조사는 해저에서 유물을 목격한 잠수사의 신고를 계기로 2021년 시작되었다

이후 2023년까지 선사시대 간돌검을 비롯해 고려청자, 조선시대 분청사기와 백자 등 여러 시기를 아우르는 유물 660여 점을 발굴했다

다만 현재까지 고선박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화물로 실렸던 청자다발과 선박에서 사용한 노와 닻도 확인되어 이곳에 난파선이 매장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올해 조사에서는 청자 등 도자기 유물 190여 점과 청동숟가락, 상평통보 등 금속 유물 20여 점을 포함해 220여 점의 유물을 발굴했다

특히 분청사기, 백자, 곰방대 등과 같은 조선시대의 유물들은 같은 형태가 여러 점 출수되었는데 이는 선원들이 사용하던 것이 아니라 배로 운반했던 화물로 추정된다.

무엇보다 태안에서 발굴된 조선 전기 조운선 마도4호선을 제외하고, 수중 출수된 조선시대 유물 대부분이 선원들이 사용했거나 유실된 유물이었단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또한 발굴 해역에서는 몇 점의 목제 닻가지가 개흙에 묻힌 채 확인되었다

이는 조선시대 말기 그려진 <만경현 고군산진 지도>조운선을 비롯해 바람을 피하거나 바람을 기다리는 선박들이 머무는 곳이라는 기록을 실증하는 유물이기에 의미가 있다. 

 

4ae13403862e7641a6b429aff37e429b_1732950022_9387.jpg
선유도 해역에서 발굴한 분청사기와 백자들
(사진=국가유산청)

 

국가유산청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현재까지 진행된 군산 선유도 해역의 발굴조사 결과를 정리해 2025년에 발굴조사 보고서를 발간할 예정이다

아울러 앞으로도 수중 발굴조사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그 성과를 관련 학계와 국민들에게 공유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문의 : 국가유산청 국립해양유산연구소 수중발굴과(061-270-20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