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식품통계로 알아보는 소고기 이야기

마민석 2021-09-16 (목) 12:22 3년전 442  

7c54ca0c2bddcb77fc1a23ac9ca91a81_1631762548_4491.jpg


국내 소비로 알아보는 소고기에 관한 모든 것

 

다가올 추석, 소고기 많이 구입 하시나요?

<가구당 소고기 추석 전 구매액 변화(단위 : )>

- 2010: 평소 구매액 7,745 | 추석 전 구매액 14,322

- 2011: 평소 구매액 7,916 | 추석 전 구매액 14,977

- 2012: 평소 구매액 8,503 | 추석 전 구매액 13,536

- 2013: 평소 구매액 8,953 | 추석 전 구매액 18,546

- 2014: 평소 구매액 9,262 | 추석 전 구매액 17,049

- 2015: 평소 구매액 9,234 | 추석 전 구매액 21,034

- 2016: 평소 구매액 9,297 | 추석 전 구매액 22,628

- 2017: 평소 구매액 10,098 | 추석 전 구매액 21,747

- 2018: 평소 구매액 9,605 | 추석 전 구매액 26,460

우리나라는 평소보다 추석 직전의 소고기 구매액이 높게 나타나며, 특히 2018년에는 평소보다 소고기 구매액이 175% 증가하였습니다.

* 출처: 농진청, 추석 명절 농식품 구매패턴 변화 분석, 농촌진흥청 보도자료(’19.9.2)

 

소고기 얼마나 소비하고 있을까요?

<2009~2019년 연간 소고기 1인당 소비량(단위 : kg)>

- 2009: 8.1

- 2011: 10.2

- 2013: 10.3

- 2015: 10.7

- 2017: 11.3

- 2019: 13.0

우리나라의 소고기 1인당 소비량은 꾸준히 상승세를 보이는데, 2019년의 경우 2009년 대비 약 60.5%(4.9kg) 증가했습니다.

* 출처: 2020년 농림축산식품 주요 통계, 농림축산식품부(2020)

 

소의 어떤 부위를 많이 구입할까요?

- 부위별 : 연간 구입액(단위 : ) | 비중(단위 : %)

어느 한 부위로 특정할 수 없는 기타’, ‘가공식품’, ‘세트항목 제외

양지 : 51,766 | 16.0

갈비 : 46,875 | 14.5

등심 : 46,671 | 14.5

앞다리 : 19,905 | 6.2

설도 : 13,217 | 4.1

사태 : 9,969 | 3.1

우둔 : 9,312 | 2.9

안심 : 8,337 | 2.6

사골미족 : 7,712 | 2.4

채끝 : 7,551 | 2.3

목심 : 4,856 | 1.5

특수부위 : 2,305 | 0.7

2019년 소의 부위별 연간 구입액을 살펴보면, 양지 > 갈비 > 등심이 다른 부위들에 비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출처: 2020 농식품 소비 트렌드 발표대회_소고기, 농촌진흥청(2020)

 

소고기 국내 생산량과 수입량 (단위 : 천 톤)

- 2017: 생산량 238, 수입량 344

- 2018: 생산량 237, 수입량 417

- 2019: 생산량 246, 수입량 426

- 2020: 생산량 249, 수입량 421

최근 4년간 소고기 수입량의 평균은 402천 톤으로 국내 생산량의 평균 242.5톤보다 1.66(159.5천 톤) 더 높습니다.

*출처: 통합식품안전정보망(축산물 생산실적통계, 2017~2020)

 

세계 소고기 시장 함께 살펴볼까요?

<2020년 주요 국가별 소고기 시장 규모(단위 : 십만 톤, %)

- 미국 : 124 (20.44%)

- 브라질 : 101 (16.67%)

- EU : 78 (12.89%)

- 중국 : 67 (11.09%)

- 인도 : 38 (6.21%)

- 아르헨티나 : 32 (5.33%)

- 호주 : 21 (3.50%)

- 멕시코 : 21 (3.43%)

- 파키스탄 : 18 (3.00%)

- 러시아 : 14 (2.27%)

- 캐나다 : 13 (2.16%)

- 기타 : 79 (12.98%)

2020년 국가별 소고기 시장 규모를 보면, 미국(1,24십만 톤) > 브라질(1,01십만 톤) > EU (78십만 톤) > 중국(67십만 톤)의 생산량이 세계시장 점유율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출처: 통합식품안전정보망(생산실적통계, 2020)

 

소고기, 요리에 따라 사용 부위가 달라져요!

- 구이용 갈비 : 선명한 선홍색을 띠며 마블링이 적당히 있고 근막이 적은 것을 구매합니다.

- 탕국용 : 사태나 양지처럼 살코기와 지방, 근막이 적당히 있는 것을 구매합니다.

- 찜용 갈비 : 지방과 힘줄이 많지 않은 것을 구매합니다.

- 산적, 꼬치 : 우둔이나 설도처럼 지방이 적은 부위를 구매합니다.

*출처: 추석 명절, 소고기 고르는 꿀 팁!, 식품안전나라(’18.9.11)

 

추석 소고기 요리, 이렇게 해보세요!

- 갈비찜이나 불고기를 조리하기 전에 고기를 흰 우유에 담가두면 잡내를 잡아주고 육질의 결이 살아 식감도 좋아집니다.

- 고기 완자 등 분쇄육을 조리할 때는 반드시 속까지 완전히 익혀야 하며, ·소시지 등 육가공품도 중심 온도 75에서 1분 이상 가열·조리해야 합니다.

- 소고기를 이용한 조리 시 사용하는 양념은 설탕 대신 파인애플, , 키위와 같은 과일을 사용하면 당도 줄이고 연육 효과도 얻을 수 있습니다.

*출처: 건강한 추석 명절을 위한 식품·의약품 안전정보 제공, 식약처 보도자료(’20.9.23)

 

곧 다가오는 민족 대명절, 추석! 소고기로 만든 맛있는 음식으로 풍성한 명절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