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우리나라 뇌 연구개발은 어디쯤 왔을까

마민석 2021-09-01 (수) 10:54 3년전 860  

    fc7f1d8fccc625dd7e136991b5f640a7_1630461258_7899.jpg


뇌 연구로 우리가 상상하던 미래를 현실로!

혁신기술 확보와 융복합 생태계 구축을 위한 뇌 연구개발 투자전략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뇌 연구는 국민 삶의 질 제고와 직결된 핵심 분야입니다.

인공지능, 생명공학 등 파급력이 매우 큰 분야로, 세계는 차세대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노력 중입니다.

- 세계경제포럼·MIT, 중국 7대 첨단기술개발계획 등에서 주요혁신기술로 선정

- 미국, 인간 뇌지도 작성 중 / 일본·중국, 영장류 모델을 활용한 뇌질환 연구

우리 나라의 뇌 연구개발은 어디쯤 왔을까요?

1998년 뇌연구촉진법 제정 이후 뇌 연구 기초 역량은 상당 수준 축적

국내 뇌 관련 산업은 태동기로 실용화를 위한 기술 고도화가 필요한 시점

융복합 뇌 연구 패러다임의 변화에 맞춰, 뇌 연구·산업을 발전시키겠습니다.

뇌 연구의 경쟁력 제고 및 뇌 산업 기반 마련을 위해 뇌 연구개발 투자전략 마련

- 현재 2024

융복합 연구생태계 구축

특화 뇌지도 2종 구축

중개 협력연구 기반 마련

혁신적 뇌연구 기법 개발

- 20242030

세계적 기술 경쟁력 확보

특화 뇌지도 구축확대·활용

뇌질환 진단치료 핵심기술개발 5

글로벌 Top 융복합기술개발 5

 

[전략]

1. 분야별 핵심기술에 중점투자하겠습니다.

- 삶의 질 제고를 위한 뇌질환 극복 연구 강화

발달장애, 치매 등 생애 전주기적 뇌질환을 과학기술로 극복

- 다층적·통합적 뇌 기능 연구 강화

분자·세포, 회로, 고위뇌기능 등 연구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

- 뇌 연구와 타분야 융합을 통한 혁신기술 개발

광학, 나노, 전자 등 타분야와 접목해 다양한 기술 개발

2. 도전적 연구 프로그램을 추진하겠습니다.

- 핵심 뇌기술 조기 확보를 위한 뇌지도 구축

우리나라 여건을 고려한 특화뇌지도 2종 확보(~2024)

- 고위뇌기능 연구를 위한 영장류 연구 기반 확대

우울증, 자폐, 조현병 등 고등 뇌인지기능 관련 연구에 필수

- 뇌 융복합 기술을 기반으로 한 신기술 사업화

ICT와 융합을 통한 다양한 서비스 및 제품 개발

3. 뇌 연구·산업의 생태계를 조성하겠습니다.

- 뇌 연구 자원관리 및 데이터 고도화

뇌자원 데이터표준화, 통합 인프라 구축

- 기술·창업 중심의 뇌 산업 육성·지원

정부의 적극적 지원으로 민간 참여 유도·실용화 촉진

4. R&D 투자의 전략성을 강화하겠습니다.

- ···병 협력체계 활성화

공동 연구 과제 발굴 등 분야별 소통·협력 강화

- 뇌 연구 지원체계 고도화

·중장기 목표를 고려해 혁신기술 확보, 민간 투자 촉진

뇌 연구·산업 선도를 위해 R&D 투자를 확대해 가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