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야외활동 시 식중독 주의하세요

마민석 2021-11-06 (토) 10:52 3년전 47  

84837896102a4415a9bf46171a0398e5_1636163536_2638.jpg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소통실

 

일교차가 크고 낮 기온이 높은 가을철에는 야외활동이나 가정에서 식음료 보관·섭취 시 식중독 발생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도시락 섭취로 인한 식중독 발생 가능성이 높아 도시락 준비와 식음료 섭취 시 주의해야 할 식중독 예방 요령을 알아본다.

손 씻기

음식을 조리하기 전·후로 비누 등 손 세정제를 이용해 30초 이상 손을 깨끗이 씻어야 한다.

준비·보관

생고기, 생닭 등을 손질하거나 계란 등을 만진 후에는 익히지 않고 그대로 섭취하는 채소·과일 등을 만지면 안 된다. 채소·과일 등은 물에 담갔다가 흐르는 물로 깨끗이 씻은 후 빨리 사용하거나 차갑게 보관하며, 손질한 육류·어패류는 냉장 상태로 보관한다.

조리 시

육류, 가금류, 달걀 등은 내부까지 완전히 익도록 충분히 가열·조리(중심온도 75, 1분 이상)*하고, ·도마는 식재료별로 구분해서 사용 후 깨끗이 씻어 교차오염을 방지한다.

* 어패류의 경우에는 중심부가 85이상 충분히 가열·조리

조리 후

김밥을 만들 경우에는 재료를 충분히 익히고 식힌 다음에 조리하며, 도시락은 밥과 반찬을 식힌 후 별도 용기에 담는다.

미지근한 온도(30~40)에서 미생물의 증식이 가장 빠르기 때문에 익힌 재료는 식혀서 조리하는 것이 좋다.

또한 나들이할 때 조리된 음식은 아이스박스 등을 이용해 10이하로 보관·운반하고, 햇볕이 닿는 곳이나 차량 내부, 트렁크 등 비교적 온도가 높은 곳에서 2시간 이상 방치하면 위험하다.

기타

야생의 덜 익은 과일이나 야생버섯 등을 함부로 채취·먹어서는 안 되며,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은 계곡물이나 샘물 등을 함부로 마시지 않도록 한다.

참고로 관광지나 음식특화거리 등에서 음식점을 방문할 때 음식점 위생등급*’을 확인하면 보다 높은 위생 수준의 음식점을 선택할 수 있다.

* 음식점의 위생수준을 평가해서 우수한 업소에 대해 등급을 지정하는 제도. 매우우수(★★★), 우수(★★), 좋음()

 

식중독 예방 6대 수칙

1. 손 씻기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씻기

2. 익혀먹기

육류 중심온도 75(어패류는 85) 1분 이상 익히기

3. 끓여먹기

- 물은 끓여서 마시기

4. 세척·소독하기

식재료·조리기구는 깨끗이 세척·소독하기

5. 구분 사용하기

날음식과 조리음식 구분, ·도마 구분 사용

6. 보관온도 지키기

냉장식품은 5이하, 냉동식품은 -18

문의 : 식품의약품안전처 식중독예방과(043-719-2107)



문화

+ 문화


+ 최근기사


통계


  • 현재 접속자 2 명
  • 오늘 방문자 13 명
  • 어제 방문자 49 명
  • 최대 방문자 449 명
  • 전체 방문자 56,175 명
  • 전체 기사 3,109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