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성가족부
“성평등 가치가 확산되고, 보는 가족·청소년을 존중하는 포용사회 실현”
<모두가 체감하는 성평등사회 구현>
여성고용안전망 강화와 성별격차 해소
- 경력단절예방을 위한 원스톱 고용유지서비스 지원
- 경력단절여성 미래유망직종 직업교육훈련 확대(59개 → 70개)
- 성별 임금격차 및 상장법인 성별임원 현황 분석·발표
성평등 문화 확산
- 공공부문 양성평등 조직문화 진단 및 개선 지원
- 국립여성사박물관 건립 본격 추진
- 지역양성평등센터 확대(5개소 → 6개소)
- 한국 최초의 여성 관련 유엔기구 UN Women 성평등센터 설립
<젠더폭력으로부터 보다 안전한 사회 실현>
맞춤형 대응체계 구축
- 「스토킹피해자보호법」 제정 추진과 스토킹 피해자 무료 법률지원
- 피해자 지원센터 인력확충 등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지원체계 강화
- 생활안정지원금, 건강치료비 등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맞춤형 지원 강화
예방교육 등 인식개선 확산
- 성희롱 예방교육 미참여 기관장 언론 공표 등 예방교육 실효성 제고
- 초·중·고 대상 디지털 성범죄 예방교육 플랫폼 구축과 콘텐츠 확산
- 수사과정 중 2차 피해 방지를 위한 자문과 관련자에 대한 교육 실시
<다양한 가족 포용 및 촘촘한 돌봄 지원>
한부모 및 다문화 가족 지원
- 아동양육비 지원대상 선정 시 일하는 한부모의 근로 사업 소득 30% 공제 (신규)
- 비양육자의 양육비 이행 강화(출국금지 요청 요건 완화 등)
- 학령기 다문화 가족 자녀 학업 지원(90개소) (신규)
아이돌봄 지원
- 저소득 청소년부모(중위소득 75%이하)의 아이돌봄서비스 지원 비율 확대(5%p 증)
- 코로나19 필수 의료·방역인력 특별 지원(요금의 최대 90%)
- 상황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위한 돌봄 통합지원 플랫폼 구축 추진 (신규)
가족서비스 강화
- 청소년부모에 대한 학습·상담·법률지원 및 아동양육비 시범 지원 (신규)
- 생활 사회기반시설(SOC)형 가족센터 확대(96개소 → 108개소)
- 1인가구의 생애주기별(청년·중장년·노년) 사회적관계망 형성 지원(12개소) (신규)
<청소년 안전망 구축 및 참여 확대>
청소년 사회안전망 강화
- 지자체 청소년안전망팀 확대(14개소 → 20개소)
- 취약계층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지원 확대(만 11~18세 → 만 9~24세)
- 온라인 상 청소년 유해정보 상시 점검인력 확대(18명 → 118명)
- 학교 밖 청소년 진로직업체험프로그램 확대와 온라인콘텐츠 개발 (신규)
청소년 참여·활동 확대
- 프레잼버리(제15회 한국스카우트잼버리) 개최(8월)
- 청소년 방과후아카데미 확충(332개 → 350개)
- 2022 한·아세안 청소년 서밋 개최
※ 주제: 탄소중립 실천방안 등 토의
사회 구성원 모두가 서로 존중하는 포용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