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정부 “미국 기술-한국 생산력 결합…글로벌 백신 허브 도약”

마민석 2021-05-23 (일) 17:22 4년전 2025  

6125e89240d34f6c920daa099a786dc0_1621758137_7641.jpg
강도태 보건복지부
2차관이 23일 정부세종청사 보건복지부 브리핑실에서 한미 정상회담을 전후한 양국 간 백신 협력 관련 논의 사항을 발표하고 있다.


양국 협력 장기적 대량 생산기지 구축 의미첫 백신 파트너십 체결

전문가 그룹 신속 구성백신 생산 연구개발·원부자재 협력 등 논의

 

정부가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 합의한 한미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을 통해 글로벌 허브로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이에 백신 파트너십의 구체화를 위한 후속 실무 협의를 진행할 전문가그룹을 신속히 구성하기로 했다.

정은영 보건복지부 백신도입사무국장은 23일 한미 백신 협력 관련 브리핑에서 이번 백신 파트너십은 미국의 우수한 기술과 한국의 생산 능력이 합해져 장기적인 대량 생산기지를 구축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모더나 백신 위탁생산은 아스트라제네카, 노바백스, 스푸트니크V 백신에 이어 국내에서 4번째다.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앞서 21(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백악관에서 열린 양국 정상회담에서 포괄적인 한미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 구축에 합의했다.

이 일환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와 모더나사()가 코로나19 백신 위탁생산 계약을 맺는 등 정상회담 기간 4건의 양해각서(MOU)도 체결됐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mRNA 백신을 자체 개발했거나 생산을 맡은 업체는 없었으며,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처음이다.

강도태 복지부 2차관은 이번 파트너십으로 양국이 글로벌 보건 위기에 공동 대응하는 동시에 한국이 백신 부족 상황을 타개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의미가 있다면서 글로벌 백신 허브 국가로 발전하는 데에도 새로운 계기가 된 것으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나라 바이오산업의 우수한 생산 역량과 인적 자원, 품질 관리 수준을 인정받았다는 의미도 있는 만큼 국내 공급도 더욱 안정적으로 이뤄지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정부는 이번 합의의 성과가 조기에 가시화하도록 후속 조치에 힘을 쏟겠다면서 실무 논의 기구인 한미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 전문가그룹도 신속히 구성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부에 따르면 전문가그룹은 양국 과학자, 전문가, 공무원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백신 파트너십의 주요 내용인 생산이나 연구 개발, 원부자재에 대한 협력 등과 관련한 구체적인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유주헌 팀장은 각국에서 몇 명이 참여하고, 공무원의 경우 어느 직급이 참여할지 등에 대해서는 한국과 미국 간 협의를 통해 구체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실행력을 담보하기 위해 완전한 실무급이 아니고 어느 정도의 직급을 가진 분들이 참여하게 될 것으로 예상한다시니어급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사회

+ 문화


+ 최근기사


통계


  • 현재 접속자 3 명
  • 오늘 방문자 12 명
  • 어제 방문자 49 명
  • 최대 방문자 449 명
  • 전체 방문자 56,174 명
  • 전체 기사 3,109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