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김 총리 “고통 큰 업종·감염위험 낮은 시설부터 방역 완화”

마민석 2021-10-22 (금) 13:51 3년전 47  

ab38cf2d86b213e0c5711384ac14bef1_1634878266_762.jpg
김부겸 국무총리가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일상회복지원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사진=국무조정실)


일상회복지원위 주재일상회복, 단계 구분해 체계적으로 진행

 

김부겸 국무총리는 22방역완화 조치는 그동안 고통이 컸던 업종이나 소외된 계층부터, 그리고 감염확산의 위험이 낮은 시설부터 과감하고 적극적으로 취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 총리는 이날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일상회복지원위원회를 주재한 자리에서 일상회복은 시기를 몇 단계로 구분해 체계적으로 진행할 것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여전히 확진자 수가 고려돼야 하겠지만 앞으로는 중증화율이나 사망률과 같은 지표를 좀 더 비중있게 감안하고 의료대응 체계도 이에 맞게 전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총리는 일상회복의 초기 단계에서는 백신접종 완료자를 중심으로 방역기준이 완화돼야 한다백신접종이 감염예방과 중증화율, 사망률 모두를 크게 줄여주고 있기 때문에 감염 확산의 위험을 낮추면서 일상회복을 시작하려면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과정에서 이른바 접종증명·음성확인제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면 미접종자나 건강상의 이유로 접종이 어려운 분들의 상황까지도 충분히 배려하면서 제도를 설계하고 운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자율과 책임방역은 더욱 강화해야 한다방역기준이 완화되는 분야에서는 업계나 시설관리자 자율로 수칙 이행 노력이 분명하게 뒷받침돼야 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날 위원회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주에 구체적인 단계적 일상회복 이행계획을 내놓을 예정이다.

김 총리는 코로나19 방역과 마찬가지로 일상회복도 우리가 한번도 가보지 않은 길이라며 여러 나라의 앞선 경험을 볼 때 일상으로의 단계적 전환 역시 무조건 안심하기보다는 희망을 품은 위기의 순간으로 이해하고 치밀하게 준비해야 하는 도전적인 과제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일상회복지원위원회를 통해 각계 각층의 의견을 경청하면서 일상회복의 폭을 확대하되 방역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균형점을 찾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우리가 시작하게 될 단계적 일상회복은 한 걸음 한 걸음 신중하게 나아갈 수 밖에 없고 이에 따라 국민들께서 만족하지 못하는 속도일 수도 있다당장은 기대에 비해 충분치 못한 출발이 될 수도 있지만 회복의 여정에서 국민들께 그때그때 소상히 설명드리고 공감대를 얻어가며 여정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사회

+ 문화


+ 최근기사


통계


  • 현재 접속자 5 명
  • 오늘 방문자 49 명
  • 어제 방문자 40 명
  • 최대 방문자 449 명
  • 전체 방문자 56,100 명
  • 전체 기사 3,104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