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치유농업, 스트레스 완화에 효과’ 건국대 연구팀 검증

mamax 2025-08-18 (월) 12:41 2시간전 17  


a5fc0cd26b9aaa35b76717991559b470_1755488459_3961.png
건국대학교 융합연구팀이 농촌진흥청과 협력해 성인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맞춤형 치유농업 프로그램을 기획
·운영하고 과학적으로 효과를 검증했다

 

박신애 교수 중심 융합연구팀, 지역복지기관과 정신건강센터에 확대 적용 예정


박신애 교수를 중심으로 한 건국대학교 융합연구팀(기계로봇자동차공학부 정회룡 교수, 스포츠의과학과 박훈영 교수, 건국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홍준 교수)이 농촌진흥청과 협력해 성인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맞춤형 치유농업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하고 과학적으로 효과를 검증했다. 이번 연구는 치유농업의 심리적·생리적 효과를 통합적으로 분석한 다학제적 융합연구로, 정량적 지표를 기반으로 정신건강 개선 가능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한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프로그램은 서울·경기 지역의 50플러스센터 3(금천·노원·서대문)과 인천 부평중부종합사회복지관 등 4개 기관에서 진행됐으며, 87(치유농업 참여군 50, 건강평가군 37)이 참여했다. 프로그램은 주 1회씩 총 10회기 운영됐으며, 운영 전후에는 심리·생리 지표를 활용한 효과 검증이 함께 이뤄졌다.
박 교수팀은 다년간 축적한 농업환경 자원 및 치유 요소 데이터를 바탕으로, 스트레스 완화에 효과적인 농업활동과 식물자원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설계했다. 특히 LazarusFolkman의 스트레스 대처 이론을 반영해 참여자가 자신의 스트레스 요인을 인식하고 식물 매개 활동을 통해 적절한 대처 전략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주요 활동은 정서 조절능력,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 등 심리적 매개요소를 촉진하고, 신체적 스트레스에 대한 대응을 돕는 중강도 원예활동 중심으로 구성됐다.
효과 검증은 사전·사후 심리정서 자기보고식 설문과 함께 심박변이도(HRV), 혈중 코티솔(Cortisol), 염증지표(CRP), 면역지표(DHEA-S) 등 생리적 스트레스 관련 지표 분석을 병행해 과학적으로 수행됐다. 지표 분석 결과, 치유농업 참여군은 건강평가군에 비해 자가 보고된 스트레스 수준과 혈중 코티솔 농도가 유의미하게 감소해 치유농업 프로그램이 스트레스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프로그램은 박 교수팀이 그간 축적해 온 연구 성과를 지역사회 현장에 적용해 실질적 효과를 검증한 사례로, 치유농업이 일상에서 실천 가능한 정신건강 관리 모델로 기능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박 교수팀은 향후 본 프로그램을 지역 복지기관, 정신건강센터 등 다양한 현장에 확대 적용할 계획이며, 건국대학교는 치유농업이 국민 정신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와 프로그램 개발을 이어갈 예정이다.
웹사이트http://www.konkuk.ac.kr


사회

+ 문화


+ 최근기사


통계


  • 현재 접속자 3 명
  • 오늘 방문자 61 명
  • 어제 방문자 84 명
  • 최대 방문자 449 명
  • 전체 방문자 58,615 명
  • 전체 기사 3,257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