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 본격 구축…추진단 출범

mamax 2025-08-01 (금) 15:10 17시간전 14  


19b766ddc52bc61fe8aaf1d7e6228b8e_1754028641_451.jpg
차세대 분산형 전력망
 시스템.(산업통상자원부 제공)

 

AI 활용한 '양방향' 계통 전력망전남서 첫 실증 사업

"차세대 전력망으로 지역 에너지 분권화도 속도 낼 것"


전 세계가 재생에너지 확대로 전력망 투자에 과감히 나서는 가운데, 우리도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 구축'으로 전력망 전환에 본격 착수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호현 산업부 2차관을 단장으로 관계 부처, 지방자치단체, 외부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차세대 전력망 추진단'을 구성해 로드맵과 세부 추진 계획 마련에 들어간다고 31일 밝혔다.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은 재생에너지, ESS 등 분산 에너지를 AI 기술로 제어해 전력 생산-저장-소비를 최적화하는 지능형 전력망(마이크로그리드)을 의미한다.

에너지 고속도로가 전국 계통에 필요한 송전망을 구축하는 것이라면 차세대 전력망은 지역 단위의 촘촘한 소규모 전력망을 배전망에 구축하는 것이다.

기존 전력망은 송전망에 연결된 대형 발전기의 전력이 전국 수요처로 전달되는 발전송전배전의 '단방향' 계통이라고 하면 차세대 전력망은 배전망에 주로 연결된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발전이 배전망을 타고 수요처로 보내지고 남는 전기는 송전망으로 다시 전송되는 '양방향' 계통을 의미한다.

차세대 전력망은 마이크로그리드를 통해 그리드 안에서 재생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해 전체 전력망의 안정적 운영에도 도움이 된다.

이번 정책의 목표는 재생에너지 적합한 전력 시스템 구축 발전 지역 내 소비를 통한 지역별 전력 수급의 균형 전 세계적인 전력망 현대화 추세에 맞춰 전력망의 수출 산업화 등으로 설정됐다.

우선 일부 지역을 대상으로 차세대 전력망 실증 사업이 진행된 후 전국으로 확대된다. 실증 사업이 유망한 지역을 분산 에너지 특화 지역으로 지정해 전기사업법과 전력시장에 대한 규제 특례를 적용한다

규제 특례를 통해 전력 신산업 비즈니스를 활성화하고, 지역 발전사와 수요기업 간 전력 직접거래를 허용해 다양한 전기요금제의 출현을 유도해 나갈 예정이다.

첫 실증 사업은 전라남도에서 추진된다. 전남은 재생에너지 생산이 많고 한국에너지공대, 광주과학기술원 등 관련 연구기관이 많아 차세대 전력망 시범 구축에 적합하다는 판단이다.

특히 한국에너지공대는 에너지 기업, 연구기관, 스타트업이 협업하는 오픈 캠퍼스로 운영된다. 한국에너지공대-광주과기원-전남대는 공동연구, 연구 장비 공동 활용, 기술 창업 협력을 통해 에너지신산업 창업 산실로 거듭난다.

지역 배전망 실증과 별도로 산업단지, 대학 캠퍼스, 공항, 군부대 등에 맞춤형 전력망 구축 실증 사업도 진행된다. 예를 들면 철강업종이 주력산업인 산단에 재생에너지 단지를 조성하고 잉여전력으로 그린수소를 생산해 수소 환원 제철 등 탈탄소 공정에 활용하는 식이다.

이외에도 지능형 전력망 시스템, 장주기 ESS와 같은 차세대 전력망 핵심 기술개발재생에너지 판매 입찰 시장 확대, 주민 참여형 재생에너지 보급·이익 공유 시스템 마련, 배전망에 대규모 ESS 구축 등 정책이 추진된다.

차세대 전력망 구축은 다양한 산업·분야를 망라하고, 전력시장 제도 개편의 국가적 과제를 담고 있는 만큼, 정부와 민간의 긴밀한 협력추진 체계가 필요하다

이에 정부는 이호현 산업부 2차관을 단장으로 한 '차세대 전력망 추진단'을 구성한다. 기재부·국토부·농식품부·과기정통부·국방부 등 관계 부처, 지자체, 유관기관(한전, 전력거래소, 에너지공단, 코트라 등), 민간 업체, 외부 전문가 등이 함께 한다.

산업부는 "차세대 전력망으로 지역 에너지 분권화도 속도를 낼 계획"이라고 밝히고 "유럽에서 마을 협동조합이 마이크로그리드를 공동 설치하고 지역발전에 활용하는 것처럼, 주민참여형 재생에너지 보급과 이익공유 시스템 마련으로 에너지취약지역 마을을 RE100 마을로 전환하는 사례도 다수 출현할 것"이라 전망했다.

문의: 산업통상자원부 전력정책관 신산업분산에너지과(044-203-3951), 전력시장과(044-203-3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