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대한민국, 플라스틱 오염 종식의 길을 열다

mamax 2025-11-10 (월) 11:11 2시간전 40  


caf2aeda47d9c865857633f84d9fdf7c_1762740700_1558.jpg
에코
C큐브(Eco-C CUBE)CES 2026 혁신상 수상한 소식 및 유휴농지·태양광 연계형 등 탄소감축형 순환건설 인프라 적용 모델()

 

웨스텍글로벌, ‘에코C큐브(Eco-C CUBE)’CES 혁신상 수상자(Honoree) 선정

 

한국저영향개발협회(KLIDA)의 회원사인 웨스텍글로벌(WES-Tec Global)의 기술 에코C큐브(Eco-C CUBE)’가 세계 최대 기술 전시회 CES 2026에서 ‘CES혁신상(CES Innovation Awards® 2026 Honoree)’수상자로 선정됐다.

이번 수상은 지난 4월 미국에서 열린 Edison Awards 2025(에디슨 어워드)에서 수상한 데 이어 기술 혁신성과 사업화 가능성을 동시에 인정받은 성과다.

특히 플라스틱 재활용 기술이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과 에너지 전환(Energy Transition) 분야에서 CES의 인정을 받은 것은 한국 기술로서는 최초로, 전자·배터리 중심의 기존 부문을 넘어선 의미 있는 성과다.

웨스텍글로벌 최아연 대표는 에코C큐브는 우리가 버려온 플라스틱을 다시 지구를 지탱하는 구조로 되살리는 기술이라며 이번 CES 혁신상은 한국의 순환건설 기술이 세계 시장에서 친환경 혁신의 새로운 기준으로 인정받았다는 뜻깊은 결과라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기술을 통해 폐플라스틱 없는 사회로 나아가겠다고 덧붙였다.

한국저영향개발협회 최경영 협회장은 대한민국에서 탄생한 이 기술은 태평양과 인도양, 대서양에 떠 있는 플라스틱 섬과 개발도상국의 플라스틱 매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질적인 대안이라며 협회는 케냐·앙골라·탄자니아 등 각국 대사들과 플라스틱 오염 해결을 위한 협력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번 CES 수상을 계기로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배출권 창출이 가능한 글로벌 확산 활동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CES 혁신상은 소비자기술협회(CTA)가 주관하는 세계적 권위의 시상 프로그램으로, 매년 디자인과 엔지니어링 혁신을 인정받은 제품을 선정한다. 수상작은 CES 2026 기간 중 라스베이거스 ‘Venetian Expo’에서 전시된다.

한국저영향개발협회 연구개발본부장 박세현 박사(지반, 토목구조공학)에코C큐브는 단순한 소재 개발을 넘어, 토목구조·지반공학적 안정성,그리고 탄소저감 효과가 동시에 검증된 순환형 인프라 기술이다. 세척·분리가 어려운 해양·육상 폐플라스틱을 고기능 구조재로 전환함으로써, 탄소중립·기후위기 대응·인프라 안전을 하나의 기술로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국제적으로도 높은 확장성을 갖는다. 이번 CES 혁신상 수상은 대한민국이 플라스틱 오염종식을 위한 대안 소재 분야에서 기술 선도국으로 자리매김했다는 의미이며, 앞으로도 국제 협력을 통해 탈탄소화를 선도하는 글로벌 순환건설 탄소감축 인프라로 확산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CES는 소비자기술협회(CTA)가 주관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기술 박람회로, 글로벌 기업과 혁신가들이 미래 기술과 새로운 비즈니스 방향을 제시하는 행사다. 2026CES는 내년 16일부터 9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다.

웹사이트: http://www.klida.or.kr

 


사회

+ 문화


+ 최근기사


통계


  • 현재 접속자 4 명
  • 오늘 방문자 24 명
  • 어제 방문자 19 명
  • 최대 방문자 449 명
  • 전체 방문자 64,350 명
  • 전체 기사 3,482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