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5개월 만에 코로나 재감염”…평균 소요기간 60일 빨라져

마민석 2022-08-11 (목) 23:57 2년전 229  

 eeb0537c4734340a12b496a851be537d_1660229857_7548.jpg 


74주 주간 재감염률 5.43%월간 재감염 49.2%17세 이하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은 11“6월 이전의 경우 코로나19 재감염은 평균 6~7개월로 보였으나 7월에는 5개월 내외로 단축된 결과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코로나19 중앙방역대책본부 정례브리핑에 나선 백 청장은 코로나19 재감염 추정 사례 현황 및 발생 요인 분석 결과를 발표하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재감염은 반 정도가 18세 미만의 소아·청소년에서 발생하고 있고, 나머지는 미접종자에서 발생하고 있다예방접종을 하면 미접종에 비해서 재감염의 위험을 낮출 수 있다고 덧붙였다.

73~4주 발생한 2회감염 추정사례는 56679명으로 누적 2회감염 추정사례는 총 142513명이다. 이중 74주 주간 확진자 중 2회감염 추정사례는 5.43%

7월 발생한 2회감염 추정사례의 평균 소요기간은 약 5개월로 지난 6월까지 발생한 2회감염 추정사례 보다 약 60여 일 빨라져 최초감염 후 2회감염이 발생하는 기간이 짧아졌다.

특히 최근 1달간의 2회감염 추정사례 분석 결과 17세 이하 및 미접종군이 2회 감염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72회감염 추정사례 중 17세 이하의 비율은 49.2%20201월 이후 확진자 중 17세 이하의 비율인 23.1%에 비해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또한 7월 기준 코로나19 백신 미접종군이 약 12%임에도 불구하고 72회감염 추정사례 중 미접종군은 약 50%로 높았다.

한편 백신접종에 따른 2회감염 추정사례 발생 및 사망 진행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접종 횟수가 증가할수록 2회감염되거나 2회감염 후 사망할 가능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2회감염 발생 위험은 미접종군에 비해 2차접종 완료군은 48%, 3차접종 완료군은 74% 낮았다.

감염횟수와 관계없이 3차접종 완료군에서는 감염 후 사망 진행  위험이 95% 이상 낮았으며, 2회 감염시에서도 접종횟수가 증가할수록 사망 진행 위험도는 낮게 나타났다.

이에 백 청장은 감염만으로는 중증화를 예방하는 효과가 많이 우수하지는 않고, 추가적인 예방접종을 통해서 중증화와 치명률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자연감염으로 얻은 면역으로는 재감염이나 중증화를 예방하는 효과는 제한적이기 때문에 접종 시기에 맞춰서 예방접종을 맞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문의 :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 위기소통팀(043-719-9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