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정부 “11주만에 감소세 전환…위중증 등 증가로 안심할 수는 없어”

마민석 2022-03-28 (월) 12:18 3년전 61  

3adc0e5d277392eb852664135613f228_1648437500_0302.jpg
권덕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이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며 발언하고 있다. (사진=보건복지부)


숨은 감염사례 고려하면 확실한 감소세 여부는 더 주의깊은 관찰 필요

위중증자·사망자 증가 최대한 억제 노력먹는 치료제 등 적극 확대

 

권덕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보건복지부 장관)28“11주만에 오미크론의 유행이 정점을 지나 서서히 감소세로 전환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한 권 1차장은 지난주 49만명까지 늘었던 코로나 신규 확진자 수는 오늘 187000여명까지 줄었다이는 지난 21일과 비교해도 22000여명 적은 규모라며 이같이 말했다.

하지만 위중증자와 사망자수의 증가는 정점의 2~3주 후에 본격적으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실제 오늘 위중증 환자 수는 1273명으로, 지난주 월요일 1130명보다 증가했다고 우려했다.

또한 중증도가 높은 60대 이상 감염이 최근 들어 지속적으로 증가해 27일 기준으로 20.9%를 기록했다면서 아직도 3차 접종을 받지 않으신 고령자들께서는 서둘러 접종을 완료해달라고 당부했다.

1차장은 오미크론 하위 변이인 ‘BA.2’, 이른바 스텔스 오미크론이 전세계적으로 매섭게 확산되고 있다이에 유행의 감소세에 있던 유럽국가들에서 확진자 수가 다시 반등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국내의 스텔스 오미크론 검출률도 지난주 기준 56.3%를 기록하며 우세종이 되었다면서 숨은 감염 사례들도 있음을 고려하면 오미크론이 확실히 감소세로 들어갔는지는 좀 더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위중증자와 사망자수의 증가를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우선 약 158만 명의 일반관리군 환자에 대해 전화상담과 처방이 가능한 동네 병·의원을 9130개까지 늘렸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지난 25일부터 동네 병·의원에서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를 통해 확진되면 진료와 처방, 증상 모니터링까지 원스톱으로 바로 받을 수 있다.

아울러 본인이 희망하거나 의료기관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집중관리군으로 전환해 전국 1139개소 재택치료 관리의료기관의 모니터링을 받게 된다.

재택치료자의 대면진료를 위한 외래진료센터도 총 263개까지 확보해 코로나가 아닌 질환까지 원활하게 대면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외래진료센터의 신청대상을 모든 병·의원으로 대폭 확대한다.

이번 조치는 확진자도 사실상 모든 병·의원에서 1차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병원급은 오는 30일부터, 의원급은 44일부터 신청이 가능하다.

한편 권 1차장은 먹는 치료제의 처방도 적극 확대하고 있다정부는 4월 말까지 총 46만 명분의 먹는 치료제의 도입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 26일부터 또 다른 먹는 치료제인 MSD사의 라게브리오처방이 시작되었고, 백신 접종으로 면역을 형성하기 어려운 면역저하자에게 쓰이는 항체치료제 이부실드의 도입도 검토하고 있다고 알렸다.

특히 접종완료자 대비 미접종자의 중증화율과 사망률이 각각 약 33, 21배인 점을 각별히 유념해 달라요양병원 및 시설에 있는 분들은 중증화 예방을 위해 4차 접종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주시길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오미크론의 대규모 확산을 잡기 위해서는 마스크 쓰기, 손 씻기, 주기적 환기와 같은 개인 방역수칙 준수와 3차 접종이 꼭 필요하다고 거듭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