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초등생 희망 직업 1위 ‘운동선수’…중·고등학생은 ‘교사’

마민석 2024-12-05 (목) 12:23 6개월전 18  

950b1407f22a35ce74ca362afd0dda73_1733368989_391.jpg
초등학생들이 축구 수업을 받고 있다
.

 

‘2024 ·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결과 발표··1200개교 조사

학교 진로교육 만족도 전년비 상승고교 졸업 후 취업희망 7% 13.3%


2024년 학생 희망 직업 조사 결과 1~3위 희망직업은 교사, 운동선수, 의사·크리에이터 등으로 지난해와 순위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1위는 초등학생의 경우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운동선수를, ·고등학생 또한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교사를 꼽았다

다만 초등학생은 20233위가 교사였으나 올해는 크리에이터로 바뀌었고, 고등학생은 지난해 3위였던 생명과학자 및 연구원에서 20243위로 군인을 희망했다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의 ‘2024년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결과를 4일 발표했다. 

 

950b1407f22a35ce74ca362afd0dda73_1733369004_8108.jpg
학생 희망 직업 상위
10(단위: %)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국가 및 시도교육청 진로교육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2007년부터 매년 전반적인 학교급별 진로교육 현황을 조사하고 있다.

올해도 지난 523일부터 621일까지 초··1200개교의 학생과 학부모, 교원 등 총 38481명을 대상으로 학교 진로교육 환경, 프로그램, 학생·학부모·교사의 인식 및 요구사항 등 260개 항목을 조사했다

이 결과 10위권 희망 직업은 1·2순위를 제외한 응답 비율의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직업세계 변화와 다변화된 가치관에 따라 학생들의 희망 직업 또한 분산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했다

고등학생의 졸업 후 진로계획은 대학 진학은 77.3%에서 66.5%로 감소하고, 취업 비율은 7.0%에서 13.3%로 전년 대비 상승했다

고등학생의 졸업 후 창업 희망 비율은 그동안 꾸준히 상승 추세였으나 올해는 5.2%에서 3.3%2023년에 비해 소폭 감소했다

다만 창업가정신 함양 및 창업체험교육에 참여한 학생의 경우 진로를 합리적인 방식으로 결정하고 효과적으로 준비·관리할 수 있는 진로개발역량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진로교육 현황에서는 대다수 학교가 진로교육 담당부서 운영, 연간 계획 수립 및 예산 편성 등을 통해 안정적으로 진로교육을 운영 중인 것으로 보인다.

한편 중·고등학생의 학교 진로활동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증가한 가운데, 초등학교는 4.10점에서 4.08점으로 소폭 하락했다

학교 진로활동별 만족도의 경우 초·중학생은 진로체험(4.21, 3.91), 고등학생은 진로동아리(3.83)가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진로체험 참여 희망 비율(86.1%, 87.0%, 87.1%)은 초··고 모두 높게 나타났다.

학부모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진로교육은 학교급별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먼저 초등학생 학부모는 진로체험 활동(4.44)의 필요성이 제일 높다고 응답했고 중학생 학부모는 학생 진로심리검사 제공(4.36)을 우선시 했다

고등학생 학부모는 학생 진로·진학 등에 관한 상담(4.36)이 제일 필요하다고 응답하는 등 학교급별로 진로교육 지원의 차별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결과에 대해 소은주 교육부 책임교육정책관은 급격한 사회변화에 따른 가치 다변화 등으로 미래 직업 세계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교육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참고해 학생들의 참여 희망이 높은 진로체험을 다양화하고,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를 스스로 개척하고 미래를 준비할 수 있는 진로개발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진로연계교육과 커리어넷 진로심리검사 활용도 제고는 물론 교원 대상 진로교육 연수 등을 충실히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조사 결과는 국가통계포털(https://www.kosis.kr) 및 진로정보망 누리집(https://www.career.go.kr)에 탑재·제공될 예정이다.

문의 : 교육부 책임교육정책관 기초학력진로교육과(044-203-6733), 한국직업능력연구원 국가진로교육연구센터(044-415-53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