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코로나로 사라진 여성 일자리…‘맞춤형 지원’으로 다시 일할 기회를

마민석 2021-03-19 (금) 14:55 4년전 836  

f8145cbe88093272a932a984a57bc80c_1616133278_2403.jpg
다함께돌봄센터 내 돌봄교실 모습
. (사진=정책기자단)

 


[여성 고용위기 극복] 재정 일자리 57000개 창출새일여성인턴 확대

돌봄 긴급지원 연장경력단절 여성 범부처 통합취업지원서비스 출범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고용 취약계층이 혹독한 일상을 보내고 있다. 코로나19로 여성, 청년 일자리가 집중된 숙박·음식점업이나 교육 서비스업 등 대면 접촉이 많은 산업이 먼저 타격을 받았기 때문이다. 정부는 4차 맞춤형 대책을 통해 여성과 청년을 위한 217000개의 일자리를 만들어 구직활동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코로나19 이후 악화된 고용상황을 극복할 지원책과 이로 인해 당장 생길 일자리는 무엇이 있는지 살펴봤다. (편집자 주)

정부가 코로나19로 취업자 수가 급감한 여성의 고용 회복을 위해 꺼낸 카드는 당장 일할 수 있는 일자리 만들기. 여성 취업자가 대면 서비스업종에 집중돼 있는데다 휴교와 휴원 등에 다른 돌봄 책임이 여성에게 쏠리면서 경력단절 위기에 노출된데 따른 것이다.

정부는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공공과 민간 부문에서의 여성 일자리를 확대하고, 기업들에는 인센티브를 줘 여성들의 일자리 회복과 사회복귀를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피해가 집중된 계층을 집중적으로 두텁게 지원하는 것이 효과를 극대화할수 있어서다.

추경으로 여성 일자리 77000개 만든다

코로나19 여파로 타격을 입은 여성 고용 회복을 위해 올해 새로 생길 일자리는 78만개에 달한다.이 중 77000개는 추경을 통해 새로 생겨난다.

먼저 돌봄, 디지털, 안전, 환경 등 앞으로 서비스 수요가 확대될 분야에서 57000개의 일자리가 만들어진다.

지역아동센터나 다함께돌봄센터 등에서 시간제 학습도우미로 일하고 싶거나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구축지원사업, 연안해역 안전관리 또는 재활용품 품질개선 지원사업 등에 참여하고 싶다면 관심을 가져봄직하다.

경력이 단절된 여성을 위한 일자리도 2만개 생긴다. 일정기간 이상 실업중인 경력단절여성 등을 채용하는 기업에 한시적으로 지원하는 특별고용촉진장려금을 통해서다. 특별고용촉진장려금은 중소기업 사업주가 6개월 이상 실업 상태에 있는 사람을 채용하면 정부가 1인당 월 최대 100만원씩 6개월간 지원하는 지원금이다. 정부는 이번 추경을 통해 18000명에 해당하는 지원금을 지원할 계획이다.

새일여성인턴제 참여폭을 넓혀 추가로 일자리도 만든다. 정부는 추경을 통해 새일여성인턴제 참여 인원을 기존보다 2000명 더 늘릴 예정이다. 새일여성인턴제는 경력단절 여성에게 인턴으로 일할 기회를 주고 해당 기업과 개인에게 총 380만원의 보조금을 주는 제도다.

지역·산업 맞춤형 일자리 8000개 늘린다

지역·산업 맞춤형 일자리 창출지원 사업을 확대해 추가로 일자리도 만든다. 이 사업은 자치단체가 지역·산업의 고용 관련 기관·단체 등과 협력해 지역·산업 특성에 적합한 사업을 발굴·제안하면 고용노동부가 이를 종합적으로 심사·선정해 지원하는 것이다.

크게 일반사업과 지역혁신프로젝트,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산업 등으로 구성돼 있다.

정부는 지역·산업 맞춤형 일자리 창출 지원사업에 경력단절여성 특화형을 신설해 8000여명에게 일자리를 제공할 방침이다.

4050대 중장년 여성층을 위해서는 국민취업지원제도를 활용해 5만명을 고용할 수 있는 선발형사업을 시행한다.

아이 돌보미 3000명 추가 채용한다

코로나19로 경력단절 위기에 놓인 여성들이 노동시장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아이 돌보미 일자리도 더 생긴다. 정부는 아이돌봄서비스 지원비율을 확대하고, 아이돌보미 인력을 기존 88000명에서 91000명으로 3000명 더 채용하기로 했다.

여기에 돌봄 종사자들이 안정적으로 공공돌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1인당 50만원씩 지원하는 생계비 지원을 기존 9만명에 추가로 6만명이 혜택을 볼 수 있도록 했다.

아울러 휴원·휴교 등 자녀 돌봄을 위해 무급으로 가족돌봄휴가를 써야하는 근로자의 부담 완화를 위해 지난해 한시적으로 지원했던 가족돌봄비용 긴급지원이 연장돼 12만명이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됐다.

범부처 경력단절여성 통합취업지원 서비스 1600명에 제공한다

경력단절 여성에게 정부 부처별 특성에 맞는 전문훈련을 제공해 취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도 생긴다. 일명 경력단절여성 범부처 통합취업지원서비스다.

 

f8145cbe88093272a932a984a57bc80c_1616133294_7721.jpg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환경부, 특허청, 고용노동부 등 8개 중앙부처는 올해 총 1600명의 경력단절 여성에게 부처별 특성에 맞는 전문훈련을 제공한다.

과기부는 여성 소프트웨어 인재를 길러내기 위해 경력단절 여성의 역량을 강화하고 특허청은 지적재산권연구개발 분야의 맞춤형 교육을 제공한다. 고용부는 한국폴리텍대학을 통해 여성 재취업 훈련을 하고, 산업부는 경력단절을 겪은 여성연구원이 다시 취업할 수 있도록 교육을 제공할 예정이다.

정부는 교육·훈련을 마친 경력단절 여성에게 인턴 채용이나 취업을 연계해주고, 취업 후에도 고용이 유지될 수 있도록 사후관리를 한다는 방침이다.

··고 여학생 등 미래의 여성과학기술인에게는 이공계 진입 초기부터 생애주기별로 맞춤형 교육과 경력관리 자문(커리어 컨설팅) 등을 지원하는 'W-브릿지 사업'을 진행한다. 정부는 총 5000명에 대한 지원을 목표로 이번 달 말부터 시범 사업에 착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