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정부, 경제형벌 합리화 TF 가동…1년 내 경제형벌규정 30% 개선

mamax 2025-08-02 (토) 12:21 8시간전 74  


d837e0811428917f666da99de530c669_1754104858_2491.jpg
이형일 기획재정부
1차관이 31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고의·중과실 아닐 땐 사업주 형사처벌 책임 완화

소상공인 등 과도한 형벌과징금·과태료로 전환

 

정부는 1일 기획재정부와 법무부 차관을 공동단장으로 15개 부처, 연구기관이 참여하는 '경제형벌 합리화 TF' 1차 회의를 개최하고 경제형벌 합리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비상경제점검 TF 3차 회의에서 과도한 경제형벌로 기업활동이 위축되지 않도록 신속하게 경제형벌 합리화 방안을 마련할 것을 지시했다.

이날 회의에서 이형일 기재부 1차관은 '1년 내 전 부처 경제형벌 규정 30% 개선'이라는 구체적이고 명확한 목표를 설정하되, 기계적 감축보다는 기업과 피해자가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개선과제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관계부처의 적극적 협조를 당부했다.

정부는 사업주의 고의·중과실이 아니거나 경미한 사안에 대해서는 형사책임을 완화하는 방향으로 제도를 정비하고 배임죄에 대한 개선 논의도 함께 추진한다.

아울러, 소상공인·중소기업과 일반국민에게 과도하게 적용되는 형벌규정도 과징금·과태료로 전환하는 등 형벌규정의 합리적 개선도 추진한다.

또한, 형벌보다는 징벌적 과징금 등 재산상 책임을 강화하고, 피해자에 대해서는 실질적 배상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한다.

이와 함께, 주가조작 등 악의적 불공정거래, 생명·안전상 위해 초래와 같은 중대범죄에 대해서는 즉각적이고 단호히 대응할 계획이다.

이진수 법무부 차관도 형벌은 규제의 마지막 수단이어야 한다는 원칙을 강조하면서 기업인들에게 과도하게 적용했던 형벌 규정을 정비하고, 기업이 창의성과 도전정신을 발휘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경제형벌 합리화 TF는 경제단체, 기업인 의견을 수렴해 올해 안에 개선과제를 마련하면서, 우선 추진이 필요한 과제는 다음 달 정기국회에 제출하기로 했다.

아울러, 국내외 우수사례 분석 등으로 부처별 과징금 부과 프로세스 개선방안도 논의해 마련할 예정이다.

무엇보다 개선과제를 신속하게 입법해 현장에서 적용하는 것이 중요한 만큼 국회와 긴밀히 협조해 나갈 계획이다.

문의: 기획재정부 기업환경과(044-215-4634), 법무부 상사법무과(02-2110-3167)


경제

+ 문화


+ 최근기사


통계


  • 현재 접속자 2 명
  • 오늘 방문자 28 명
  • 어제 방문자 102 명
  • 최대 방문자 449 명
  • 전체 방문자 57,741 명
  • 전체 기사 3,212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