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교육보국(敎育保國)”의 신조로 훌륭한 인재 키워

관리자 2020-07-28 (화) 14:53 4년전 545  

183b3fff976779998006240f081d3b49_1595915593_5304.png 

 문상주 회장


 ‘맨발의 청춘’서 다양한 사회활동가로


  스무 살 청년 문상주, 보따리 하나 싸들고 서울로 올라왔다.
  약수동 산꼭대기에 집을 얻고 돈이 없어 학교까지 걸어서 통학했다. 그 시절 현실은 암울했지만 꿈은 크고 이상은 높았다. 학비와 생활비를 충당하기 위해 작은 입시 지도교실을 차리고 학생들을 가르치기 시작했다.
 그렇게 사업을 일구어 고려학원, 한샘학원, 제일학원, 고려외국어학원, 고려중국센터, 비타에듀 등 교육기관과 (주)고려컴퓨터, (주)고려건설, (주)고려종합개발 등 사업체와 4차 산업 시대를 대비하는 (재)고려직업전문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문상주회장은 그동안 한국직능경제인단체총연합회 회장을 15년간 역임했다. 이와 함께 한국학원총연합회 회장을 18년 동안 역임했다.
 그런 한편으로 중국 북경에 중화고려대학을 설립했다. 외국인으로선 처음으로 중국 본토에 세운 대학이다.
 그는 교육사업을 하면서 항상 ‘교육보국(敎育保國)이란 말을 신조로 삼아왔다. 교육을 통해 나라에 보답한다는 뜻이다. 국회의원이나 장관 자리에 연연하기보다는 교육을 통해 훌륭한 인재를 키우는 것이 그의 꿈이었다.
 80년대 중반에는 인터넷과 IT 시대에 기여하기 위해 자비를 들여 아무 조건과 대가 없이 컴퓨터 유학생을 일년에 10명씩 일본에 유학 보냈다.
 이어 2002년 한일 월드컵에서는 상대팀을 응원해주는 ‘코리안서포터즈’ 활동을 전개해 대통령 단체표창과 체육훈장 거상장을 수훈 받았다.
 또 다른 여러 가지 사회사업도 전개했다. 불우청소년 돕기 및 청소년 선도사업, 검정고시 출신 등 50만 명에게 장학금 지급... 이런 공로로 UN에서 수여하는 세계아카데미평화상교육자 상을 수상했다. 이 상은 노벨교육자상으로 통한다.
 또한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민화협) 공동대표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민주평통) 상임위원을 각각 15년 동안 역임하기도 했다. 
 문상주 회장은 또 청·장년층의 구직난 해소를 위하여 노동부, 행정자치부 등 정부 각 부처의 후원으로 ‘서비스산업 취업박람회’를 개최했다.
  직능경제인단체총연합회는 각 서비스산업 분야의 직능단체 및 업체에 대한 효과적 업무지원에 들어갔다. 수시로 직능연합 회장단과 사무처 직원이 회의를 갖고 연락을 취해 효율적으로 업무를 추진했다.
 그 결과 1,300여명의 예비 취업자를 기록하는 등 큰 성과를 거두었다. 이 박람회는 정기국회 노동부 국정감사에서도 성공적으로 개최된 취업 박람회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국가의 백년대계를 위한 인공지능(AI) 전도사

 문상주회장은 인공지능 시대를 맞아 서울 노량진의 19층 건물 ‘어바니엘 한강’ 전체를 인공지능 인재를 육성하는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곳에서 우리나라의 4차 산업을 일으키는 데 한몫을 하고자 한다. '4차 산업혁명실천연합'도 이 건물에 입주했다.
 이 건물에는 4차 산업혁명 체험시설과 교육시설, 일자리 취업교육 및 일자리 정보센터를 열어 국내 최초로 '4차 산업혁명 원스톱 센터'로 운영된다. 다양한 미래의 기술을 체험하게 하고, 교육을 통해 새로운 일자리 창출과 취업을 지원해서 대한민국의 미래를 주도하는 인재를 양성할 생각이다.


문상주 회장 프로필

주요학력
   - 1992년 연세대학원 졸업(석사, 자치행정)
   - 1999년 경원대학교 대학원 명예문학박사
   - 2000년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 2003년 고려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 2007년 고려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주요경력

   <사회활동>
   - 1993년~2011년   (사)한국학원총연합회 회장(6~11대)
   - 2000년          (사)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공동의장
   - 2019년~현재     (사)4차산업혁명실천연합 공동대표
   - 2020년~현재     (사)한국평생교육기관협회 이사장
   - 2020년~현재     직능자영업당 대표

   상훈
(국내)      
- 1984년 12월 5일 국민훈장 석류장  
- 1995년 5월 29일 국민훈장 동백장  
- 2002년 11월 체육훈장 거상장
- 2018년 5월 16일 대한민국나눔봉사대상 교육혁신부문 최고대상
- 2018년 6월 5일 INAK 사회공헌대상
- 2019년 11월 25일 지속가능과학상 경제부문 대상